fnctId=bbs,fnctNo=2649 RSS 2.0 105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게시글 리스트 20학번 권도균 학생, 대한전기학회 스마트에너지경진대회 대상 수상 새글 작성자 김인경 조회 6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5.08.07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권도균(사진) 학생이 ‘2025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스마트에너지경진대회 대상을 수상했다.(지도교수 박관수)공학 분야 국내 최대 학회인 대한전기학회의 이번 하계학술대회는 7월 16일부터 19일까지 BEXCO에서 개최됐다.권도균 학생은 공진식 무선충전기술을 활용해 2025년 졸업과제로 수행한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전송 송·수신코일 오정렬 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대상에 선정됐다.이번 연구는 전기자동차 유선 충전의 불편함을 줄이고자 무선 충전 시 자동차의 주차 위치에 따른 무선충전코일의 오정렬을 파악해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해 주는 기술로, 현장에서 직접 시연해 큰 호응을 얻었다. 해당 기술은 차후 전기자동차를 무선으로 충전할 경우 필수적으로 구현돼야 하는 기술로서 실용성도 함께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부산대 로봇팀 타이디보이(이승준 교수팀), 국제 AI 로봇대회 '로보컵' 작성자 김인경 조회 15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5.07.28 부산대 로봇팀 ‘타이디보이(Tidyboy)’가 한국 유일팀으로 참가해, 7월 15일부터 21일까지 브라질 살바도르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AI(인공지능) 로봇대회인 ‘로보컵(RoboCup) 2025’의 홈 서비스 부문(RoboCup@Home)에서 역대 최고점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리그 종합 세계 1위를 차지했다.이번 대회에는 전 세계 37개국에서 총 1,500명의 선수가 2,000여 대의 로봇으로 참가해 로봇 축구, 홈 서비스, 산업 자동화, 재난 구호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실력을 겨뤘다. 그중 부산대가 세계 1위를 차지한 ‘홈 서비스’ 부문은 가정 환경에서 인간을 돕는 서비스 로봇의 기술을 겨루는 종목이다. 올해 이 부문에는 중국 칭화대, 일본 동경대,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독일 본대학, 스위스 로잔공대, 미국 UT 오스틴 등 해외 유수의 대학에서 총 22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타이디보이’ 팀은 정부 주도의 K-휴머노이드 연합의 AI전문가 그룹에 소속된 전기공학과 이승준 교수와 연구실 학생들로 구성된 팀으로, 강태웅, 김준영, 송동운, 샤디 나스라트, 안기재, 조민성, 이선일, 박예리, 박수연, 김동섭, 유동화 등 11명의 학생이 이번 대회에 참가했다.타이디보이 팀은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누비스’로, 우수한 물체 인식과 빠른 자율 주행 능력, 정교한 양팔 조작 능력, 인간과의 원활한 의사 소통 능력을 선보였다. 주어진 8개의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해 독일과 중국 팀을 꺾고 역대 최고점으로 우승을 거뒀다.이 같은 성과에 이재명 대통령도 직접 SNS를 통해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생들이 국제 인공지능 로봇대회 ‘로보컵 2025’ 홈서비스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점 기록까지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은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또한 “대한민국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기술의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며 “내년 인천에서 열리는 로보컵 대회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AI·로봇 기술 분야를 선도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X(구 트위터) 보기: https://x.com/Jaemyung_Lee/status/1948323768100900895- 대통령 블로그 보기: https://blog.naver.com/jaemyunglee/223945791094부산대에서는 ‘아누비스’ 로봇 개발을 주도한 강태웅 학생이 “우리가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세계 유수의 팀들을 압도하는 성적으로 우승해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고, 팀을 지도하며 대회를 준비해 온 이승준 교수도 “중국의 로봇굴기(?起)로 대부분의 로봇 대회가 중국 로봇들에게 점령돼 가는 상황에서 부산대의 자체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을 입증해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이승준 교수는 부산대 로봇기술연구센터 참여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이승준 교수는 부산대 로봇기술연구센터 ‘첨단로봇산업 전문인력양성 사업’ 참여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한편, 내년 2026년 로보컵은 우리나라 인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부산대 팀은 대회 참가뿐만 아니라 강태웅 학생이 기술 위원, 송동운 학생이 운영 위원으로 대회 전반에 참여할 예정이다.* 사진: 부산대 타이디보이 팀 우승 모습. 지도를 맡은 이승준 교수(중앙 트로피를 들고 있는 인물)와 뒷줄 왼쪽부터 샤디 나스라트, 조민성, 송동운, 강태웅, 유동화, 안기재 학생, 앞줄 왼쪽부터 박수연, 김동섭, 박예리, 이선일, 김준영 학생. 남일구 교수 '반도체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기자 간담회 참여 작성자 김인경 조회 150 첨부파일 0 작성일 2025.07.17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남일구 교수는 지난 7월 15일 여수시 소노캄호텔에서 열린 '반도체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 반도체공학회 감사 및 비전전략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참여하였다. (사진 왼쪽 첫번째 남일구 교수)관련기사 링크:-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7/16/2025071600060.htm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71609333097834- https://zdnet.co.kr/view/?no=20250716154703-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716500518 21학번 배지윤, 한국전자파학회 동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84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5.02.27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배지윤(21학번) 학생이 2월 13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전자파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지도교수 이옥구) 수상 논문은 ‘180도 위상 변환 발룬 결합기 기반 아웃페이징 전력증폭기’로,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고선형성 비격리형 결합기로서, 광대역에서 동작하는 180도 위상 변환된 분산 발룬 결합기를 제안하여 이론적 및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제안된 광대역 비격리형 결합기인 발룬 결합기는 능동 부하 변조특성에 의해 백-오프 구간에서도 높은 효율을 갖는다. * 사진: 수상자 배지윤 학생 [전기전자공학부] 김장목·이성식 교수 부산 전력반도체 발전 기여 업적 '부산시장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79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2.12 * 사진: 왼쪽부터 김장목 교수, 이성식 교수. 전기전자공학부 김장목 교수와 이성식 교수가 부산시 전력반도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장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11월 29일 부산 아스티 호텔에서 개최된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 송년의 밤 행사에서 진행됐다.김장목 교수는 그동안 부산대 반도체 교육과 연구 혁신에 기여하고, 전력반도체 기업인 ㈜효원파워텍을 설립해 대표이사를 맡는 등 부산이 전력반도체 특화 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이바지했다. 효원파워텍은 기장 전력반도체 특화 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력반도체를 기반으로 전력전자 제어장치를 개발하는 지역 전력반도체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이성식 교수는 2022년부터 차세대 반도체 분야 부산대 자체 특성화 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반도체 산업 특성을 파악해 대학 교육 및 연구에 반영하고 지산학협력에 힘써 왔다. 이를 발판으로 2023년 5월 교육부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구축사업을 수주해 현재 연구소장을 맡아, 부산시의 공공 전력반도체 인프라 확보와 지산학협력의 토대를 마련한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다.한편, 김장목 교수와 이성식 교수는 그동안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의 전력반도체 산업정책 수립과 과제기획을 위한 추진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해 오고 있다.부산시는 그동안 전력반도체 생태계 조성 및 전력반도체 허브 도시 실현을 추진해 왔으며, 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이번에 시장상을 수여했다. [ 출처: PNU 포커스] 2024년 전기인의 날 - 메인행사 작성자 안수연 조회 69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27 1. 개최일자: 2024. 11. 14.(목) 2. 개최 프로그램: 2024년 전기인의 날 - 『메인행사』 ◇ 특강 (연사1) 유튜버 테크몽 (연사2) 전기공학과 동문회장 (연사3) 공과대학 동문회장 ◇ 졸업과제 시상식 ◇ 경품 추첨3. 장소: 본관 대회의실 2024년 전기인의 날 - 캡스톤디자인 전시회 작성자 안수연 조회 61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27 1. 개최일자: 2024. 11. 14.(목) 2. 개최 프로그램: 2024년 전기인의 날 - 『캡스톤디자인(졸업과제) 전시회』3. 장소: 본관 다목적홀 2024년 전기인의 날 - 오픈랩 작성자 안수연 조회 49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26 1. 개최일자: 2024. 11. 14.(목) 2. 개최 프로그램: 2024년 전기인의 날 - 『대학원 오픈랩』3. 장소: 특공관 대학원 연구실 [전기기기 및 전자기응용연구실] [플라즈마 전력반도체연구센터] [집적회로 및 시스템연구실] [전력경제연구실] [고주파집적회로 및 시스템연구실] [전동력응용연구실] [스마트시스템네트워킹연구실] [자율로봇 및 인공지능연구실][차세대반도체·디스플레이연구실][초전도응용연구실][전력시스템연구실] 2024년 제3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367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26 2024년 제3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4. 11. 21.(목) 12:00 2. 강연자: 김욱 교수님 2024년 제2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220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26 2024년 제2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4. 10. 10.(목) 12:00 2. 강연자: 이해준 교수님 제우스 산업용 로봇 챌린지 '대통령상' 수상 작성자 김인경 조회 46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1.11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이승준 교수팀(‘사이버 칵테일 2077’팀)이 ‘제우스 산업용 로봇 챌린지’에서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거둬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이번 대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주최로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부산대가 우승한 ‘R-Biz 챌린지’ 종목은 국내에서 개발된 로봇 부품 및 제품을 활용해 비즈니스 아이디어와 마케팅 전략을 발굴하는 경진대회로, 참여 기업이 제시한 미션을 참가자들이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사이버 칵테일 2077’팀은 이승준 교수가 지도하는 PNU 자율로봇 및 인공지능 연구실 소속 학생들로, 제우스 산업용 로봇팔과 AI 기술을 활용한 로봇 바텐더를 선보였다. 이 로봇은 고객의 표정과 옷차림을 인식해 대화를 이어가고, 고객의 취향을 반영한 음료를 추천·제조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VR 트래커를 통해 인간 바텐더의 셰이킹 동작을 모방한 다이내믹한 제조 과정으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다. 자율로봇 및 인공지능 연구실은 RoboCup, World Robot Summit 등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해 왔다.* 사진: 수상팀. 왼쪽부터 안기재(팀장) 석사과정생, 송동운 박사과정생, 이선일 학생, 장연철 학생, 샤디 나스랏 연구원, 조민성 석사과정생, 김명수 학생, 이지호 학생. 21학번 김은우 외 3명, 대한전기학회 제15회 전력산업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수상 작성자 김인경 조회 490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0.31 우리학과 학생들이 10월 25일 개최된 '대한전기학회 제15회 전력산업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주요 부문의 상을 석권했습니다.· 김은우(21학번) : 해석소프트웨어 부문 금상 수상 (출품작: Python 기반의 Hybrid 전력망 조류계산 프로그램, 지도교수김 욱)· 노영민(19학번), 전준희(18학번) : 응용 소프트웨어 부문 은상 수상 (출품작: Matlab 기반의 선로 과부하 해소를위한 배전계통 ESS 설치 위치 및 최적 용량 산정 프로그램, 지도교수 황평익)· 이수민(18학번) : 해석소프트웨어 부문 장려상 수상 (출품작: Matlab 기반의 컨버터 제어모드를고려한 Hybrid 전력망 조류계산 프로그램, 지도교수황평익) 학과의이름을 빛낸 수상자들에게 큰 축하를 전합니다.*사진: 수상자 (왼쪽부터 김은우, 전준희, 노영민, 이수민) [교수임용] 엄대용 박사, 경상국립대학교 조교수 임용 작성자 정희명 조회 60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10.10 엄대용 박사(31)가 2024년 9월 1일자로 경상국립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2011년에 우리학과에 입학한 엄대용 박사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기기기연구실 에서 2019년 공학석사, 2023년 공학박사를 받은 후 영국의 뉴캐슬 대학교 연구원으로 임용되어 지금까지 관련 연구를 수행해 왔다.엄 박사는 석.박사 과정 동안 한국연구재단, LG전자, 한국가스공사,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산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기관들과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전기기기및 전자기 응용기기의 설계 및 해석기술, 전자기 비파괴 검사기술등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보였다. 특히 학위과정 중에도대한전기학회의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회의 학생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IEEE에서 주관하는 학생국제학술대회 (IEEEStudent Conference on Electric Machines and Systems, SCEMS)를 유치하여 위원장으로활동하면서 학생들의 학회 참여를 주도하여 학생국제학술대회를 국제적 수준으로 올리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와 이력을 인정받아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다수의 연구상을 수상하였다. 엄 박사는 해외 연구원으로 근무할 당시의 연구역량을 인정받아 향후에도지속적으로 해외 기관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본교 대학원의 연구수준을 대내외에 인정받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대학 전기기기연구실(지도교수 박관수)은 2020년도에 학위를 받고 1년 후 2021년에 동의대학교 교수로임용된 임상현 교수에 이어 2023년도에 졸업하고 1년 후 2024년도에 경상국립대에 교수로 임용된 엄대용 교수를 배출함으로써 연속하여 대학교수를 배출한 연구실이 되었다. 엄대용 교수는 2024년 9월 1일부터 해당학과에서 전기기기와 수치해석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김욱 교수님 국회 토론회 패널 참여 작성자 김인경 조회 58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9.05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김욱 교수는 지난 9월 2일, 국회에서 열린 「분산전원 확대를 위한 바람직한 지역별 요금제 추진 방향」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 패널로 참여했다. 이번 토론회는 김원이·안호영·정진욱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에너지전환포럼(상임공동대표 전영환)이 주관하였다. 토론의 핵심 주제는 전력 수요의 비대칭 구조 개선을위해 내년 상반기부터 도입될 예정인 지역별 가격제의 방향성에 대한 것이었다.김욱 교수는 "LMP(Local Marginal Pricing; 지역별 도매요금제)는 분산전원 확대와 소매요금 차등화를 위한 재원 마련의 목적에서 도입되어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소매요금 차등화와 함께 LMP 도입이 이상적이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2490국회토론회 유튜브 링크:https://www.youtube.com/live/ABETbuANRww?si=tv8rCBJ4bh_7B69x 부산대학교 전공알림DAY 전기공학전공 부스 운영 작성자 안수연 조회 35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9.05 부산대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부산대 전공(학과)별 정확한 진로·진학 정보를 안내해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부산대학교 전공알림 DAY」 행사를 8월 24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 5층 전시실에서 개최했다.우리 전공에서는 학생회의 김재용(20학번), 이상현(20학번), 최종인(22학번) 학생이 참가하여 전공 부스를 운영하였다. 행사장 내 설치된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부스에서는 전공 이해를 돕기 위한 학부 교육 과정 내 세부 전공 안내부터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소개까지 전기공학전공을 이해하기 위한 전반적인 설명과 상담을 진행하였다. 부스를 방문하는 학생들에게 PPT와 출력물로 이해를 도왔고, 간단한 다과와 부채 기념품도 선물로 제공하였다.전기공학전공을 이해하기 쉽도록 고교생 눈높이에 맞게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더불어, 진로에 관한 고민등 다양한 질문에 성심성의껏 답해주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행사가 마무리되었다. 사진 1. 전공 및 진로 상담 (사진: 설명자 왼쪽부터 이상현, 최종인 학생) 사진 2 . 전공 및 진로 상담 (사진: 설명자 왼쪽부터 최종인, 김재용, 이상현 학생) 사진 3 . 전공알림 DAY 개막식 사진 4 . 대학입학전형 설명회 사진 19학번 이주혁 외 2명,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금상 수상 작성자 김인경 조회 53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7.22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이주혁(19학번)·유원아·백승주(20학번) 학생이 7월 11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스마트에너지 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했다.(지도교수 박관수)수상팀은 졸업과제로 수행한 ‘자계 센서를 이용한 3축 Helmholtz 코일의 공간자계 균일도 분석 시스템’ 연구로 선정됐다. 학생들은 3축 Helmholtz 코일을 제작해 내부 공간의 자기장을 제어하면서 내부에 96(16*6)개의 Hall Sensor Array를 이용해 공간자계 분포를 시각화해 자계균일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해 호평을 받았다.해당 작품은 국방용 자기 스텔스 기술로부터 바이오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수상자. 왼쪽부터 이주혁, 유원아, 백승주 학생. 2024년 제1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44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5.22 2024년 제1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4. 5. 21.(화) 12:00 2. 강연자: 김재호 명예교수님, 박관수 교수님 「IT관 재건축 BTL공사」 기공 작성자 김인경 조회 266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1.16 교내 IT(정보기술) 관련 학과들의 교육·연구시설 확충과 공간 집적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IT관 재건축 BTL공사」의 기공식이 1월 15일 오후 현장부지에서 개최됐다.※ BTL(Build-Transfer-Lease): 민간이 자금을 투자해 사회기반시설을 건설(Build)한 후 국가·지자체로 소유권을 이전(Transfer)하고, 국가·지자체에게 시설을 임대(Lease)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부산대는 이날 착공에 들어가 내년 2025년 7월 준공해 2학기부터 교내 구성원들이 IT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사업시행자는 부산사랑㈜, 설계사는 ㈜이가종합건축사무소, 시공사는 코오롱글로벌㈜ 및 ㈜동신, 운영사는 자이에스앤디㈜, ㈜C S자산관리가 맡았다.IT관 재건축은 총사업비 267억 원을 투입해 기존의 제1부속공장을 철거하고 동일 부지 내에 추진한다. 지하 1층, 지상 10층, 연면적 13,161.08㎡ 규모로 2021년 고시된 국립대학 시설개선 BTL 중 최대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새로 건립될 IT관은 전기공학과 및 정보컴퓨터공학부가 입주해 강의실, 실습실, 연구용실험실, 교수연구실 등으로 활용한다.에너지절약을 위해 건물 내 조명을 100% LED로 설치하고,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및 지열을 적용해 건물에너지 소요량을 저감할 계획이다. 또한, 교내 최초로 에너지원별 원격 검침을 통해 데이터화 및 관리해 에너지 소비현황을 분석하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을 적용한 친환경 교육연구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위 그림_ 왼쪽부터 IT관 조감도 남측·북측 / 아래 사진_ 기공식 개최 모습. 2023년 공과대학 포상 기술상 수상(박관수 교수) 작성자 김인경 조회 340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1.05 우리 대학 공과대학에서 매 2년에 한번씩 열리는 포상식에서 박관수 교수가 “연구결과가 실용화되어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큰 자에게 수여하는(포상규정 제3조 3항)” 기술상을 수상하였다. 박관수 교수는 자기누설방식(MFL)의 비 파괴 검사기법을 국산화하여 지금까지 수입대체효과 365.3억을 달성하였고, 이를고도화 하여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공로를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인증 받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자기 응용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고 산학협력을통해 탁월한 성과를 달성하여 공과대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공로로 이번 기술상을 수상한 것이다. 한편 우리 공과대학에서는 “교수들의 활발한 교육, 연구 및 봉사 활동을통하여 본 대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치하하고 이에 더욱 정진해 주기를 바라는 취지에서 공적이 뛰어난 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하여(포상규정 제 1조)” 매 2년에 한번씩 학술상, 교육상, 기술상, 논문상 등을 수상하고 있다. 반도체 계측장비 세계 1위 기업 '키사이트' 부산대에 반도체 기초 실습장 작성자 김인경 조회 355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1.02 부산대는 세계 1위 반도체 계측장비 전문기업인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코리아(이하 키사이트)와 12월 13일 교내 제10공학관 2층 산업CEO 회의실에서 장비 기증식을 갖고, 향후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에 힘쓰기로 했다.이날 키사이트는 7,000만 원 상당의 반도체 기초 실습장비 40대를 ‘부산대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단(단장 이문석·전자공학과 교수)‘에 기증하고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부산대는 최근 정부의 반도체 재정지원사업 3개(반도체공동연구소,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에 모두 선정되며 90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해 반도체 산업을 이끌 인재 양성을 위한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이 중 4년간 총 328억 원을 지원받는 부산대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단은 반도체융합전공, 반도체공학전공 신설 운영을 통해 매년 150여 명의 전문 인력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키사이트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단의 참여기업으로, 장비 기증뿐만 아니라 실무형 반도체 교육과정 운영, 반도체 장비 활용 및 실습 교육 운영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반도체 전문인재 양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진: 키사이트 반도체 장비 기증식 모습. [언론보도]부산일보: 반도체계측장비 세계 1위 기업 ‘키사이트’ 부산대에 반도체 기초 실습장비40대 기증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121410452621991 연합뉴스: 반도체계측 기업 키사이트, 부산대에 장비 40대 기증https://www.yna.co.kr/view/AKR20231214067400051?input=1195m 현경석(07학번)씨 제41회 대학생 수학경시대회 은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51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4.01.02 전기공학과 4학년 현경석 학생이 대한수학회(KMS)가 주최한 제41회 대학생 수학 경시대회 2분야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대한수학회에서 주최하는 대학생 수학 경시대회는 1분야(전공)과 2분야(비전공)으로 구분된다. 2분야의경우 출제 범위는 미분적분학, 선형대수학, 미분방정식, 이산수학(경우의 수, 순열과조합, 확률, 생성함수)로서각 범위에 대한 서술형 문제가 출제된다. '전국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산자부장관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39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2.11 공학교육혁신센터(센터장 최재원·기계공학부 교수) ‘사공세이퍼’팀이 11월 22일 서울 상암 콜로세움에서 개최된 ‘2023 공학페스티벌(E²FESTA 2023) 전국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최우수상)을 수상했다.수상팀은 인공지능 대화시스템 ’사공이‘가 도입된 졸음운전 예방 방지 시스템을 구축했다. 운전자의 심박수와 눈 움직임을 측정해 졸음을 감지하고, Chat-GPT를 활용해 대화를 시도하는 ’졸음 쫓는 장치‘로 눈길을 모았다.이번 경진대회에는 전국 73개 대학에서 172개 팀이 참가했다. 부산대는 최우수상에 이어, ‘런트’팀과 ‘씨 가드’팀이 후원기관장상(특별상)을 수상해 전 참가팀이 입상했다.*사진: 왼쪽부터 수상팀 전기공학과 이소정·편종현·정주영(팀장) 학생, 최재원 공학교육혁신센터장, 기계공학부 장진석 학생, 전자공학과 문서진 학생. 2023년 전기공학과 창의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52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2.07 캡스톤 디자인 작품 중 우수작을 선정하고 작품을 홍보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안목과 역량을 높이며 교수 및 학생들 간의 아이디어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자 전기공학과 창의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 총 9개 팀이 참가하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 일시: 2023. 12. 1.(금) 9:30 ~ 12:00 - 장소: 제10공학관 10303호[사진 1] 경진대회 참가자 단체사진(총 9개팀 참가)[사진 2] 대상 수상팀 시상 사진. 왼쪽부터 이옥구 학과장님, 대상 수상팀 'Photo 기술팀' 팀장 최윤성, 팀원 표재성 학생(지도교수 노정균)[사진 3] '리브'팀의 발표사진. 발표자 장현준 학생 [사진 4] 'Photo 기술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표재성, 최윤성 학생[사진 5] 'GESS'팀의 발표사진. 발표자 양은석 학생 [사진 6] '발더스 게이트'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안기재, 조민성 학생[사진 7] '텔레파시'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진나현, 정문수 학생 [사진 8] '일론 머스크'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허승훈, 이재현 학생 [사진 9] 'MetaPPRC'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지승건, 박상아 학생[사진 10] '로보루키스'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김정범, 손우혁 학생 [사진 11] '백김치'팀의 발표사진. 왼쪽부터 백정은, 김효영 학생 2023학년도 2학기 전기공학과 취업성공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921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2.06 2023학년도 2학기에 전기공학과 취업성공특강을 총 3회 개최하였습니다. 제3회 취업성공특강 - 일시: 2023. 11. 8.(수) 15:00- 강연자: 최세은 졸업생(삼성전자 재직) 제4회 취업성공특강 - 일시: 2023. 11. 17.(금) 16:00- 강연자: 윤상민 졸업생(한국전력공사 재직) 제5회 취업성공특강 - 일시: 2023. 11. 24.(금) 14:30- 강연자: 강소현 졸업생(현대모비스 재직) 최경봉 졸업생(KT 재직) 2023년 제3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3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2.01 2023년 제3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3. 11. 23.(목) 12:00 2. 강연자: 김욱 교수님 2023년 전기공학과 오픈랩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94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1.14 2023년 전기공학과 오픈랩 개최 - 일시: 2023. 11.10.(금) - 장소: 특공관 대학원 연구실 [전기기기 및 전자기응용연구실] [플라즈마 전력반도체연구센터] [전력경제연구실] [고주파집적회로 및 시스템연구실] [전동력응용연구실] [스마트시스템네트워킹연구실] [자율로봇 및 인공지능연구실] [차세대반도체·디스플레이연구실] [초전도응용연구실] [전력시스템연구실] 2023년 제2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5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1.10 2023년 제2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3. 9. 26.(화) 12:00 2. 강연자: 이해준 교수님 김종원씨(12학번), 김성목씨(16학번) 5급 기술고시 합격 작성자 안수연 조회 34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1.06 전기공학과 12학번 김종원 씨(사진 왼쪽)와 16학번 김성목 씨(사진 오른쪽)가 2023년도 5급 기술고시에 합격하였다. 김종원 씨는 "합격하는 데 까지 많은 도움을 준 부산대학교와 전기공학과에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항상 국민을 먼저 생각하는 공직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 합격 소감을 밝혔다. 김성목 씨는 "오랜 기간의 노력 끝에 시험을 마무리할 수 있어 정말 기쁩니다. 학과에서 배운 많은 것들이 이 성과를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평생 잊지 못할 경험 중 하나일 것이며, 교수님들과 교직원분들의 지도와 가르침에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학교에서 얻은 지식과 가치를 공직에서, 그리고 더 넓은 사회에서 보답하는 데 최선을 다하여헌신하겠습니다."라고 합격 소감을 밝혔다.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김인경 조회 28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0.17 전기공학과 집적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남일구) 소속 박사과정 박건우·이승직·명진만 학생과 석사과정 김호 학생이 9월 21일부터 23일까지 라마다프라자 제주 호텔에서 열린 대한전자공학회 ‘제23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에서 ‘IEEE MTT-s Seoul Chapter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수상 논문은 ‘A 28-GHz 5G up-converter with enhanced second-harmonic LO leakage signal suppression’으로, 5G 무선 통신용 밀리미터파 송신기에서 5G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시킬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국부 발진기의 하모닉 성분을 줄이는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고성능 특성을 달성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수상팀을 배출한 집적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은 최근 5G 무선 통신을 위한 밀리미터파 회로 연구, 저전력 IoT 무선 송수신기 회로 연구,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전력반도체 구동회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 (왼쪽) 수상팀 박건우(21학번) 박사과정생 공과대학 우수연구자상 수상(이해준, 김욱 교수) 작성자 김인경 조회 252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9.14 공과대학에서 주최하는 Star 연구자상 우수 연구자상 시상식이 지난 9월 11일 산업CEO 강의실에서 개최되었으며, 이날 시상식에는 전기공학과 이해준 교수, 김욱 교수가 수상자로 참석하였다. 이해준 교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규모: 3년간 국비 총 75억)”을 유치한 업적을 인정받아 우수연구자상(사업)을 수상하였고,김욱 교수는 JCR 4.76%, IF 8.857인 상위 저널(Energy)에 논문을 게재한 실적을 인정받아 우수연구자상(논문)을 수상하게 되었다.(논문제목: Bilevel programming approach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considering electricity market). 공과대학은 연 50억원 이상의 대형 국책사업 유치에 기여했거나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을 출판한 교원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공과대학의 위상을 대외적으로 높이기 위해 STAR 연구자상 및 우수연구자상 포상을 시행해오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창원) 리쿠르팅 개최 작성자 김인경 조회 17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9.13 한국전기연구원에 재직 중인 07학번 이유기 졸업생과 박용환 본부장 님 등 총 3분이 9월 12일(화) 학과에 방문하여대학원생 및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국전기연구원 소개 및 취업 상담을 진행하였습니다. 도쿄일렉트론코리아 전공서 기증식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8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9.07 최근 정부의 반도체 재정지원사업 3개에 모두 선정되며 90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한 부산대에글로벌 기업의 지원이 이뤄진다.세계 3위의반도체 장비업체인 일본 도쿄일렉트론의 국내지사인 도쿄일렉트론코리아(TEL Korea)는 반도체를 공부하는부산대 학생들을 위해 전공서 200권을 9월 1일 오후 기증했다.이날 행사는 부산대 반도체전공트랙사업단(단장 노정균·전기공학과 교수), 반도체특성화대학지원사업단(단장 이문석·전자공학과 교수), 공과대학 주관으로 개최됐다.기증받은 전공서는 올해 2학기 부산대 전기공학과와 전자공학과에 개설된 ‘반도체공학’ 교과목 수강생 전원에게 제공된다.전공서 전달식 후에는 부산대 반도체 전공 희망학생들과 TEL Korea 현직자 간 멘토링도 이어졌다.올 상반기 부산대는 반도체공동연구소 500억 원 규모,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328억 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 75억 원 등 반도체 관련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대거 선정되며 사업비 900억원을 확보했다. 이를 계기로 부산대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들과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기증도 TEL Korea와의 산학협력 일환으로 진행됐다.출처 PNU 포커스: https://pusan.ac.kr/kor/CMS/Board/Board.do?mCode=MN109 mode=view board_seq=1491921언론보도- [부산제일경제] ‘정부 사업비 900억 유치’ 부산대, 글로벌 기업 지원받아 https://www.busan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819- [부산일보]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부산대에 반도체 전공서 기증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4395- [메트로신문]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부산대에 반도체 전공서 200권 기증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30901500386- [베리타스알파] 부산대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반도체 전공서 기증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71037-[CNB뉴스]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부산대에 반도체 전공서 200권 기증 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617883 삼성전자 취업 설명회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75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9.07 삼성전자 DX부문에 재직 중인 15학번 김동현 졸업생이 9월 5일(화) ~ 6일(수) 양일 간 학과에 방문하여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삼성전자 소개와 취업상담을 진행하였습니다. 제7회 국방과학기술대제전 '국방기술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 금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249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8.09 전기공학과 3학년 박소현(21학번), 이은지(21학번), 2학년 안근휘(20학번), 박대현(22학번), 1학년 이승민(23학번) 학생이2023년 8월 3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2023 국방기술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하였다. 국방과학/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국방과학/기술의 민간이전 활성화 기반 마련 및 양질의 국방 기술사업화 역량을 제고하는 대회이다. 해당 팀은 '수중 인공물 식별 기술'인 국방 기술과 아두이노 및 센서를 활용하여, 센서에 탐지된 수중 인공물(침적 쓰레기)의 위치 데이터 수집 후, Database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침적 쓰레기 분포 지도'로 시각화하여 데이터 형식으로 판매하는 사업화 아이디어 'DWIT'을 제시하였다. * 사진: 왼쪽부터 순서대로 안근휘, 이승민, 박소현, 이은지, 박대현 학생 공학교육혁신센터 IoT 가전 기업분석 경진대회 대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24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8.04 전기공학과 3학년 김재원(19학번), 백승주(20학번) 학생이(타 학과, 타 학교 학생과 총 6인이 1팀) 2023년 7월 25일 공학교육혁신센터 주관 IoT 가전 기업분석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IoT 가전 기업분석 경진대회는 가전과 관련된 기업을 선정하고 기업과 직무에 대해 조사하여 각자의 취업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적용한 후 발표하는 경진대회다. 해당 팀은 LG전자와 생산 직무 취업과 관련한 정보를 조사하여 적용한 발표를 하였다. * 사진: 왼쪽에서 세번째 김재원 학생, 오른쪽에서 두번째 백승주 학생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스마트 에너지 경진대회 금상 수상 작성자 안수연 조회 36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7.18 전기공학과 4학년 졸업과제(지도교수 박관수)를 수행하는 양은석(18학번), 송민수(18학번) 학생이 2023년 7월 13일 강원도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의 ‘제14회 스마트 에너지 경진대회’에 졸업과제 작품을 출품하여 금상을 수상하였고 이와 함께 상금 60만원을 수여하였다. 수상 작품은 ‘GESS(Gravity Energy Storage System)’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으로 인한 전력 계통의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GESS는 물체를 들어 올려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고 물체를 떨어뜨리며 위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중력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다. 양은석, 송민수 학생은 전기기기 학습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소형 중력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고, 대회에 출품하여 금상을 수상하였다. 양은석 학생은 “졸업과제를 진행하며 박관수 교수님 연구실의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하여 공학적 사고를 함께 쌓았으며, 이는 졸업과제를 완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사진 : 양은석 학생(우) 송민수 학생(좌)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선정 작성자 안수연 조회 2457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6.16 부산대는 반도체 초격차를 확보할 반도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에 6월 13일 최종 선정됐다.‘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은 반도체 특성화 인재 양성 대학모델을 집중 육성함으로써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 규모 및 질을 제고하고자 정부가 올해 신설한 사업이다.부산대는 비수도권 단독 사업유형으로 연 7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사업책임자 이문석·전자공학과 교수)받게 되며, 대응투자 부산시 연 7억 원, 부산대 자체투자 연 5억 원을 포함해 연간 총 82억 원 규모로 2023년부터 2026년까지 4년간 총 328억 원을 지원받는다.부산대는 지자체의 파워반도체를 포함한 차량용반도체에 대한 정책적 육성과 더불어 동남권 지역 반도체 산업 여건을 바탕으로 특성화 분야를 ‘극한환경 Vehicle 반도체’로 정하고, 교원·연구·시설 등 우수한 반도체 역량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 기술 체계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통합교과적 교육과정을 도입할 계획이다.전기전자공학부 내에 반도체공학전공을 신설(2024. 3. 1. 예정)하고 12개의 반도체 유관학과가 융합전공 및 마이크로디그리를 운영함으로써 매년 150명의 반도체 이론 및 실습 통합 교과적 지식을 갖춘 반도체 전문 인력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반도체 관련 정부재정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공과대학 최재원 학장은 “이번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은 전력반도체를 비롯한 차량 및 항공우주, 국방용 반도체를 아우르는 극한환경용 반도체 분야를 특화분야로 설정해 부산시의 반도체 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동남권의 대규모 지산학 협력 클러스터 조성으로 대한민국 지역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부산대학교가 동남권 대학 및 산업체를 아우르는 반도체 교육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부산대는 지난 5월 15일 교육부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구축사업」(사업책임자 이성식·전자공학과 교수)에도 선정돼 팹건축 및 장비구축비를 포함한 약 500억 원 규모의 사업과 더불어 취업연계형 대학원 반도체 계약학과 사업에 지원한 상태로 대학원 반도체 교육 혁신도 추진할 예정이다.차정인 총장은 “이로써 부산대학교는 취업 연계를 포함한 최고의 반도체 교육 및 선도적인 R D를 위한 인프라 확보와 학부에서 대학원에 이르는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콘텐츠 확보 등 명실상부 동남권 최고의 반도체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림: 부산대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비전 2023년 삼성전기 현장견학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21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6.09 2023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삼성전기 현장견학 개최 - 일시: 6월 2일(금) 9:30 ~ 15:30 - 장소: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2023년 제1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3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6.08 2023년 제1회 신입생 전공역량증진 특강 개최 1. 일시: 2023. 6. 1.(목) 12:00 2. 강연자: 박관수 교수님 2023학년도 1학기 전기공학과 취업성공특강 개최 작성자 안수연 조회 177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6.08 2023학년도 1학기에 전기공학과 취업성공특강을 2회 개최하였습니다. 제1회 취업성공특강 - 일시: 2023. 5. 4.(목) 16:30- 강연자: 박상욱 졸업생(삼성디스플레이 재직) 제2회 취업성공특강 - 일시: 2023. 5. 25.(목) 10:30- 강연자: 김형진 졸업생(한국전기연구원 재직) 처음 1 2 3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